초고속 모바일 인프라 고도화 제안 및 전 세계적 경제적 위기
요즘의 ICT 키워드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IoT : Internet of Things), 클라우드 컴퓨팅, IT융합기술 등으로 모바일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확대되고 수많은 데이터가 생성되어 이를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기존의 비즈니스 영역을 한층 더 확대하고 우리의 생활패턴을 예측하게 하여 신규 사업이나 전략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게 되었다.
또한 IT융합기술로 콘텐츠, 미디어, 바이오, 나노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기술개발과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기존의 업무와 IT기술과의 결합으로 새로운 융합서비스가 출현되고 있다.
이외에도 제조업, 농업, 수산업 등의 기존업무에 IT기술을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의료산업과 결합한 디지털 병원이나 헬스케어시스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은 빠르게 전파되어 기존의 산업을 위협하며 새로운 판을 짜서 이제까지의 개념이나 규제, 생태계 등을 순식간에 변화시켜 간다.
또한 글로벌하게 연결된 인터넷은 국가 간의 국경을 허물고 전자상거래 등을 통한 직구로 관세 장벽이 허물어지고 경제의 쏠림현상을 초래한다.
비교적 정보기술로 무장한 나라인 우리나라에서 더욱 빠르게 영향을 미치고 쉽게 쏠림이 가져오는 약점도 동시에 존재한다.
하물며 사물 간 통신이 가능한 IoT의 세계에서는 초연결로 각종 센서와 단말기 등이 상호 연동되어 엄청난 기술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반면, 역으로 개인 사생활의 침해와 보안등의 문제는 심각하게 대두될 수도 있다.
금융(Financial)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핀테크(Fintech)는 모바일 결제와 송금, 크라우드 펀딩, 개인의 자산관리 등 모바일기술과 금융 업무를 결합한 간편한 금융거래의 대안으로 급속하게 팽창되어 기존의 은행, 증권 등의 금융 시장을 잠식함과 동시에 세계적인 핀테크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기존의 병원업무나 의료계에서도 IT와의 융합으로 디지털병원과 모바일 헬스케어분야의 시장은 엄청난 속도로 커가고 있다.
이외에도 제조업분야, 농업분야, 미디어 방송분야 등에서도 새로운 각각 변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금부터는 초연결시대로 변혁이 일어나서 가정의 스마트홈 시스템이나 온, 오프라인이 통합된 새로운 커머스 시장인 O2O(Online to Offline)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생기는 스마트 미디어의 활성화 등 어디하나 중요하지 않은 분야가 없다.
특히 중국 IT기업의 위협과 더불어 현재 존재하는 제도와 규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기존의 사고방식으로 정부의 눈치나 국회의 법 제도적인 완화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 같다. 이제는 모든 분야가 융합되고 새로운 서비스가 출현 되는 초연결 융합시대에서 우리 자신의 의식변화와 과감한 규제혁파를 통한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해야만 급격한 변화를 이겨낼 수가 있는데 말이다.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위기감이 증폭되고 우리나라의 경제위기는 사방 군데에서 아우성치고 터져 나오고 있다. 철강, 조선, 해운 노동자들의 해고가 임박하고 경제적인 새 판을 짜는 구조조정의 칼날이 번득이고 있다.
이어 더해 브렉시트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세계 경제에 큰 충격을 던지고 있으며, 미국은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로 트럼프가 나타나서 자국 이익만을 추구하는 정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이는 경제적 위기감을 고조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미 시작된 경제위기는 한 두 산업의 문제가 아닌 전 산업, 전 계층으로 확산되고 4차 혁명이라는 새 판은 기존의 판을 흔들고 기존의 직장과 정년의 개념을 상괘시킬 엄청난 파고가 예측되고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