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영상감시 서비스 표준 구축 모델

영상감시 서비스 표준 구축 모델

- 기존의 IP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 기반 CCTV에 비해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시간 및 장소와 상관없이 감시가 가능합니다.

모델 선정 배경은?

-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은 기관의 자원에 대한 관리 및 감시를 위해 동축케이블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원거리 감시 지역이나 위험 지역 감시 시에도 직접 방문을 통해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IP-CCTV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영상 검시 업무를 원하는 공공기관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여 모델로 선정하였습니다.

효율적인 영상감시 서비스를 위해서는?

IP 기반의 환경에서 단말의 종류에 상관없이 품질 및 보안이 보장된 영상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려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 단말 : 사용자 단말은 국가 표준을 사용한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공공기관 사용자들만 접근이 가능해야 하며 IP-CCTV에도 보안 기술을 적용하여 일반 사용자들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네트워크 : 영상 트래픽과 다른 트래픽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어야 하며, 영상 트래픽에 대한 품질을 보장하여 실시간으로 감시가 가능해야 합니다.

- 제어 : 사용자 및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체계를 확실히 마련하여 편리해야 하며, 단말들에 대한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영상감시 서비스란?
일반적으로 CCTV를 말하며, 특정 시설물 감시를 위해 직접 케이블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케이블이 연결된  특정인만이 영상을 볼 수 있어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라고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물인터넷 시대 IoT의 현재와 발전 방향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ICT 융합방식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인프라 산업의 중요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