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IT 용어 해설

최신 IT 용어해설

AP(Access Point)
무선 단말을 유선네트워크에 연결 할 때 사용되는 장비

ARIA(Acadey, Research, Institute, Agency)
ISO 표준인 시드(SEED)와 함께 사용되는 국가 표준 128비트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복수의 단말이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방식

Binding(바인딩)
어떤 대상물을 그것이 나타내는 실제의 대상물과 연결하는 것

Carrier Ethernet
기종의 인터넷 접속 이더넷에서부터 무선망까지 가능하고 10Gbps 이상의 광역 통신망으로 확대되는 이더넷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케이블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케이블에 연결된 특정인만 영상을 볼 수 있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며 접속이 가능한 다중접속 방식

CoA(Class of Service)
네트워크에서 품질 제공을 위한 각종 서비스 종별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여러 대의 공격자를 분산 배치하여 시스템이 정상적인 서비스를 못하도록 동시에 공격하는 해킹 방식

DDoS Mitigation
DDoS 공격을 완화하기 위한 감시, 변경 등의 과정

Decryption
암호절차의 역순으로 암호문을 평문화하는 것

De-tunneling
하위층 통신 규약의 패킷을 상위층 통신 규약으로 캡슐화된 것을 해제

DPI(Deep Packer Inspection)
트래픽 차단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패킷의 헤더뿐만 아니라 페이로드도 감시

Encryption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를 통해 전달문을 제 3자가 이해하기 곤란한 형식으로 변환

F/W(Firewall)
컴퓨터의 정보 보안을 위해 외부에서 내부, 내부에서 외부의 정보통신망에 불법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시스템

Flooding
어떤 노드에서 온 하나의 패킷을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모든 노드로 전달하는 것

Flow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별/사용자별 데이터의 흐름

FTTT(Fiber To The Home)
전화국에서 각각의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제공하는 서비스

Gpki(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전자 정부 구축을 위해 행정 기관 간 전자 문서 교환 시 해당 공무원의 신원 확인 또는 행정 전자 문서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체계

HoA(Home of Address)
이동 IP망에서 모바일 노드의 실제 주소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서버나 네트워크에 대한 해커의 공격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안시스템

IKE(Internet Key Exchange)
인터넷 표준 암호 키 교환 프로토콜, 상세한 사항은 RFC2409에 규정되어 있으며 IPSEC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물인터넷 시대 IoT의 현재와 발전 방향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ICT 융합방식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인프라 산업의 중요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