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시대 IoT의 현재와 발전 방향
우리 사회는 산업혁명과 정보화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 혁명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관련 세계시장 규모는 200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기술 발전방향 사물인터넷이란 사람과, 사물,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돼 다양한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기술과 서비스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정보 생성(센서) 및 수집(부품, 디바이스), 공유(클라우드), 활용(빅데이터, 응용소프트웨어)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은 사물인터넷의 가치사슬을 형성한다. 사물인터넷을 칭하는 용어는 매우 다양하다. 초기의 M2M(Machine to Machine)을 거쳐 최근에는 IoT(Internet of Things)라는 용어가 보편화됐다. 이에 더해 IoE(Internet of Everything)라는 용어도 사용되고 있다. IoT와 IoE 두 용어는 개념이나 적용범위 등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 단, 지난 2012년 ITU에서 IoT를 국제공식용어로 표준화함에 따라 세계 주요국들이 IoT를 사룔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국제표준 용어인 IoT를 쓰게 됐다. IoT가 실제 생활영역에 적용되면서 다양한 경제적 가치가 창출되고, 효율성과 편의성 증대 등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아울러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방대한 비정형데이터의 처리, 분석하는 빅데이터와 효과적인 정보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산업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IoT 생태계는 개방형 서비스가 가능한 게 특징이다. 이용기관, 기업별로 개별적 폐쇄적으로 서비스가 이뤄지던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분야별 전망 IoT 기술은 서비스 프레임워크 공통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 보안기술 등으로 분류된다. IoT서비스 기술은 미리 정해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사용자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다중의 IoT서비스가 조합, 활용돼 사용자의 일을 지원하는 형태로 발전할 전망이다. IoT플랫폼 기술은 개...